가을 2-젖먹이 아기 고양이

가을이는 정말 예쁘고 사랑스러웠지만 낯선 우리 집에 적응하기 위해 꽤 많은 고생을 했다.
환경 변화에 대한 스트레스 때문이었는지 집에 온 지 얼마 되지 않아 병원 신세를 졌다. 링거를 꼽고 산소방 안에 눕혀진 가을이를 보며 신께 기도했던 기억이 난다. 저 연약한 생명을 제발 지켜달라고.
신께서 기도를 들어주셨는지 다행스럽게 가을이는 곧 퇴원했고 언제 아팠냐는 듯이 이내 아깽이 짓을 해대기 시작했다. 우다다 우다다…

어떤 날은 젖병을 입에 대기 무섭게 허겁지겁 분유를 먹다가 젖병 고무까지 뜯어 삼켜버리기도 했지. 그날 난 또 하루 종일 고무 조각을 삼킨 가을이가 탈이 날까 두려워 온 신경을 곤두 새웠던 기억이 난다.

우리 집에 온 지 이틀째였던가. 가을이가 처음 용변을 보던 순간이 기억난다. 따뜻한 물을 묻힌 거즈로 똥꼬를 살살 문질러줬더니 신기하게도 가을이는 화장실로 마련해 둔 모래 상자로 기어들어가 있는 힘을 다해 아주 작은 한 덩이를 배출했고 그 물질을 덮으려고 연약한 팔다리로 모래를 휘져었다. 그 모습이 얼마나 사랑스럽던지. 가을이는 정말 고양이었던 것이다.

그 시절 적어두었던 내 글을 보면 가을이의 날카로운 발톱과 이빨 때문에 꽤나 신경 쓰였었던 것 같다. 어렵사리 첫 발톱 깎기를 하고 나서 안도의 한숨을 쉬었었던가. 오래 고민한 끝에 사람 손을 깨무는 버릇을 고쳐주리라 맘먹고 달려들었었지. 양 손에 두터운 장갑을 끼고 가을이가 손을 깨무는 순간 살짝 때려줌으로써 사람 손을 깨물면 혼나게 된다는 것을 인식시키려는 것이 나의 의도였다. 내 나름의 훈련을 시작한 지 10여분 되었을까, 이내 나는 가을이에게 투항하고 말았다. 가을의 의지는 대단한 것이어서 마치 15라운드 내내 얻어맞으면서도 절대 뒷걸음질 치지 않는 복서의 불굴의 의지와도 같았다. 난 가을이의 의지를 인정해줬고 더 이상 그런 방식으로는 가을이를 길들일 수 없다는 것을, 아니 이 생명체는 길들여질 수 없는 고결한 그 무엇이라는 걸 깨닫게 되었다.

깨달았었다고는 하나 난 그 이후에도 몇 번이나 내 생각으로 가을이를 길들이려 했던 실수를 저질렀고 그때마다 뼈아픈 실패를 맞보고 또다시 깨닫는 것을 반복했던 것 같다. 가을이의 마지막 날도 그랬고….

그무렵의 난 이렇게 적고 있다.

주제에 맞지 않게 아가 고양이를 들였다.
중간고사에서 올백을 인정받아 선물로 들여온 아가 고양이를 보고 딸아이는 너무 좋아한다. 우리가 이 아가와 끝까지 행복한 시간들을 이어갈 수 있을까?

아직 이름 없는 아가의 지금까지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.

2013. 9/15 인천 태생 (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1450, 2남 4녀의 아가 중 남아, 몇째인지는 알 수 없음.)
10/20 태어난 지 35일 만에 우리 집으로 입양
10/21 우리 집에 온 후 하루하고 반나절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아 걱정을 안겨주던 아가에게 분유를 타주자 이를 처음으로 먹음
10/22 우리 집에 온 후 처음으로 응가함.
10/28 아침에 젖병 고무 꼭지를 씹어 삼켰는데 심히 걱정되는 상황. 응가로 나와야 할 텐데..

처음 우리집 에 왔을 때와는 달리 몰라보게 씩씩하고 과감해졌는데 혼자서도 우다다거리면서 잘 놀고 잘 잔다.
분유는 잘 먹는데 아직 물에 불린 사료를 겨우 조금씩 먹는 정도이고 분유를 떼고 사료로 넘어가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.
손발톱은 한번 힘들게 깎아줘서 예리함은 조금 무뎌졌는데 이제는 이빨이 문제다. 살살 물어도 꽤 아프다.

아가야,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오래 우리 곁에 있어 줘.

2013년 10월 28일

201310??